교과교육론에서 다루는 **덕 교육론(Virtue Ethics Education)**은 전통적 도덕 교육의 중심이 되었던 이론으로, 도덕적 삶을 위한 성품과 인격, 즉 '덕'의 함양을 강조하는 접근입니다. 덕 교육론은 고대 그리스 철학에서 그 기원을 찾으며, 오늘날 도덕 교육에서 인간다운 삶을 위한 도덕적 습관과 인격 형성을 강조하는 방식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아래에 덕 교육론을 순서에 따라 자세히 설명드립니다.
1. 덕 교육론의 이론적 배경
덕 교육론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윤리학에 뿌리를 두고 있습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인간의 궁극적인 목적을 '행복(eudaimonia)'이라고 보았으며, 이 행복은 **탁월한 덕(arete)**를 갖춘 삶을 통해 실현된다고 보았습니다. 따라서 도덕 교육의 핵심은 개인의 성품을 기르고, 선한 습관을 내면화하게 하는 것입니다. 덕은 타고나는 것이 아니라, 반복적인 행위와 교육을 통해 길러지는 것이라는 관점이 중심입니다.
2. 덕의 개념
덕은 단순히 옳고 그름에 대한 판단 능력이 아니라, 선한 삶을 살아가기 위한 성품이나 품성입니다. 예를 들어, 정직, 책임감, 용기, 배려, 절제, 인내, 정의감 등이 덕에 해당하며, 이는 실천적인 삶의 태도로 자리 잡을 때 진정한 덕이 됩니다.
덕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집니다.
- 습관적 성향: 반복을 통해 형성되고, 생활 속에서 몸에 밴 태도
- 중용의 덕: 아리스토텔레스는 덕이 과도함과 부족함 사이의 '중용'에 있다고 봄
- 상황에 따라 발휘되는 능력: 이론적 지식보다 실천적 지혜(practical wisdom, phronesis)가 중요
3. 덕 교육의 목표
덕 교육의 궁극적 목표는 도덕적으로 훌륭한 인간을 기르는 것입니다. 이는 단지 도덕적 규범을 암기하거나 법칙에 따르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내면에 선한 성향을 길러 자율적이고 지속적으로 실천할 수 있는 사람을 만드는 데 있습니다.
덕 교육은 학생들에게 다음과 같은 역량을 길러줍니다.
- 도덕적 민감성: 옳고 그름을 직관적으로 파악하는 감수성
- 도덕적 동기: 선한 행동을 하고자 하는 의지
- 도덕적 행동력: 실제 상황에서 덕을 실천하는 용기와 능력
4. 덕 교육의 핵심 원리
덕 교육론은 학생이 덕을 지식으로만 배우는 것이 아니라, 행동하고 체화하는 것을 강조합니다. 다음은 덕 교육의 대표적인 원리들입니다.
① 모범 제시 (Modeling)
교사는 학생에게 도덕적 모범이 되어야 하며, 아이들은 이를 관찰하고 모방함으로써 덕을 배우게 됩니다. ‘보여주는 교육’이 매우 중요합니다.
② 습관 형성 (Habituation)
덕은 한 번의 교육이 아니라, 지속적인 반복을 통해 습관화되어야 합니다. 이는 도덕적 실천의 내면화를 위해 꼭 필요합니다.
③ 공동체 중심 교육
덕은 사회적 맥락 속에서 형성되므로, 학교 공동체 전체가 도덕적 환경이 되어야 하며, 가정과 지역사회도 함께 참여해야 합니다.
④ 실천적 기회 제공
학생이 직접 덕을 실천할 수 있는 다양한 활동(예: 봉사활동, 협력과 책임 부여 등)을 통해, 덕의 의미를 경험적으로 배우고 체득할 수 있어야 합니다.
⑤ 반성적 사고 훈련
학생이 자신의 행동과 선택을 **성찰(reflection)**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짐으로써 도덕적 자율성과 인격 형성을 더욱 심화시킬 수 있습니다.
5. 현대적 덕 교육론의 재조명
최근 덕 교육은 인격교육(character education) 혹은 **전인교육(holistic education)**이라는 이름으로 다시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는 지식 중심 교육이나 규범 교육만으로는 도덕적 실천력이 부족하다는 한계를 느낀 데서 비롯된 반성입니다.
현대의 덕 교육은 단지 개인의 덕목을 강조하는 데 그치지 않고, 공동체적 삶과 민주적 시민의식, 그리고 사회적 책임과 배려를 포괄하는 폭넓은 도덕성 교육으로 확장되고 있습니다.
6. 교육적 의의와 과제
덕 교육론은 학생들에게 내면화된 도덕성, 자율적인 도덕 실천, 인간적인 품성을 길러줄 수 있는 교육 방식으로 매우 중요합니다. 특히 인공지능과 기술 중심 사회에서 더욱 사람다움을 갖춘 인재를 기르기 위한 교육의 방향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하지만 덕 교육은 다음과 같은 과제를 안고 있습니다.
- 덕목의 내용과 범위를 어떻게 설정할 것인가
- 도덕적 상대주의와 충돌할 수 있는 문화적 다양성의 문제
- 덕의 실천을 어떻게 교육적으로 측정하고 평가할 것인가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교육 방법과 융합적 접근, 그리고 교사와 공동체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합니다.
결론
덕 교육론은 단지 옳고 그름을 아는 수준을 넘어, 선한 삶을 살아가는 인간의 인격 형성을 중심으로 하는 도덕교육 접근입니다. 이론과 실천, 감정과 행동, 개인과 공동체를 아우르는 통합적 교육관을 지니며, 오늘날에도 도덕 교육의 근본적 방향을 제시하는 중요한 이론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