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교과교육론의 공동체주의 도덕교육론에 대해 알려줘.

story0709 2025. 6. 1. 17:11
728x90
반응형
SMALL

 

 

공동체주의 도덕교육론은 개인의 자율성과 권리만을 강조하는 자유주의적 관점에 대한 비판에서 출발하여, 공동체 속에서의 관계, 책임, 연대, 도덕적 유대감을 중시하는 도덕교육의 이론입니다. 도덕이란 개인의 내면에서 고립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 맥락과 공동체 속에서 형성되고 발달된다는 관점을 바탕으로 하고 있습니다. 다음은 공동체주의 도덕교육론의 주요 내용을 순서를 나누어 자세히 설명한 것입니다.

 


 

1. 공동체주의의 철학적 배경

공동체주의는 1980년대 이후 자유주의에 대한 비판적 대안으로 등장한 철학적 흐름입니다. 대표적인 사상가로는 앨러스터 매킨타이어(Alasdair MacIntyre), 마이클 샌델(Michael Sandel), 찰스 테일러(Charles Taylor), 마이클 월저(Michael Walzer) 등이 있습니다.

이들은 자유주의가 개인의 선택과 권리를 지나치게 강조함으로써, 공동체의 가치와 도덕적 정체성을 약화시키고, 결과적으로 인간의 도덕적 책임감과 공동선 추구를 방해한다고 보았습니다. 이에 따라 공동체주의는 인간을 관계적 존재로 보고, 도덕이란 공동체의 역사와 전통, 문화 속에서 형성되는 것이라고 주장합니다.

 


 

2. 공동체주의 도덕교육론의 기본 전제

공동체주의 도덕교육론은 다음과 같은 핵심 전제를 갖고 있습니다.

  • 인간은 본질적으로 공동체적 존재이며, 도덕성은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형성되고 발달된다.
  • 도덕은 개인의 주관적인 선택이나 감정이 아니라, 공동체 내에서 공유되는 가치, 규범, 전통에 뿌리를 두고 있다.
  • 도덕교육은 학생들이 공동체의 일원으로서 책임감과 연대의식을 갖도록 이끄는 방향이어야 하며, 개인주의적 도덕교육에서 벗어나야 한다.


 

3. 도덕교육의 목표

공동체주의 관점에서 도덕교육의 궁극적인 목표는 다음과 같습니다.

  • 학생들이 자신이 속한 **공동체(가정, 학교, 지역사회, 국가 등)**의 가치와 전통을 이해하고 존중하도록 한다.
  • 공동선을 추구하는 도덕적 시민으로 성장하게 하며, 공동체 속에서 타인을 배려하고 협력하는 삶의 자세를 형성하게 한다.
  • 정체성과 소속감, 도덕적 책임감, 사회적 연대의식을 기르도록 한다.


 

4. 도덕교육의 내용

공동체주의 도덕교육에서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중심으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봅니다.

  • 공동체의 역사, 규범, 가치, 전통에 대한 교육: 이는 학생들이 자기가 속한 공동체의 일원으로서 자긍심을 갖고 책임을 느끼게 하기 위한 것입니다.
  • 도덕적 미덕 교육: 정의, 정직, 책임, 배려, 존중 등과 같은 전통적인 미덕을 공동체 속에서 구체적으로 실천하는 법을 배웁니다.
  • 사회적 참여와 봉사활동: 실제 공동체 안에서 활동함으로써 도덕성과 시민성이 함께 함양됩니다.
  • 도덕적 담화와 토론: 다양한 가치와 관점을 비교하고 조정하는 과정을 통해 도덕적 판단력과 공동체 내 소통 능력을 기릅니다.


 

5. 교육방법 및 접근 방식

공동체주의 도덕교육은 단지 지식을 전달하는 방식이 아니라, 공동체적 경험과 참여, 관계 속의 학습을 중시합니다. 대표적인 교육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도덕적 담화 공동체 형성: 교실 자체를 하나의 도덕 공동체로 만들고, 교사와 학생이 상호 존중과 배려 속에서 의견을 나누고 공동의 결정을 실천하는 문화를 형성합니다.
  • 봉사학습(service learning): 지역사회 봉사와 학습을 연계하여 실천적 도덕성을 기릅니다.
  • 모범적인 인물 학습: 역사적, 현실적 인물들을 통해 공동체적 삶과 미덕의 의미를 배우게 합니다.
  • 도덕적 이야기 나누기와 성찰: 자신의 경험이나 공동체 안의 사건을 성찰하며 도덕적 의미를 찾는 활동을 강조합니다.


6. 대표 이론가: 콜버그와 커트너의 도덕공동체 학교

공동체주의 도덕교육론은 심리학자 로렌스 콜버그의 후기 이론과, 그의 제자 커트너(Marvin Berkowitz) 등이 발전시킨 **도덕공동체 학교(School as a Moral Community)**의 개념에서 구체화됩니다.

이 접근은 학교 자체를 도덕적 공동체로 전환하여, 규칙과 처벌 중심의 권위적 통제를 지양하고, 민주적인 의사결정, 상호 존중, 책임 있는 참여를 강조합니다. 이는 교실과 학교 문화 전반이 학생들에게 도덕성을 경험하고 실천할 수 있는 공간이 되어야 한다는 것을 뜻합니다.


7. 교육적 시사점

공동체주의 도덕교육은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줍니다.

  • 도덕교육은 단지 개인의 내면이나 의식 변화에만 머물러선 안 되고, 사회적 관계와 맥락을 고려해야 한다.
  • 학생들은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도덕성을 형성하기 때문에, 공동체의 경험, 소속감, 참여기회 제공이 핵심이다.
  • 도덕교육은 가치중립적일 수 없으며, 공동체가 중요하게 여기는 핵심 가치와 규범을 명확하게 제시하고 가르쳐야 한다.
  • 학교는 단순한 지식 전달 기관이 아닌, 삶과 가치의 공동체가 되어야 한다.

결론

공동체주의 도덕교육론은 개인의 권리와 자율성에만 집중하는 기존의 자유주의 도덕교육을 넘어, 공동체적 가치와 책임, 소속감을 바탕으로 한 도덕적 시민의 육성을 목표로 합니다. 이는 도덕교육이 이해를 넘어 실천으로, 개인을 넘어 공동체로 나아가야 함을 강조하며, 오늘날 다양성과 공동체 붕괴 속에서도 도덕교육의 방향을 제시해주는 중요한 이론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