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교육학개론의 우리나라의 교육과정 변천에 대해 알려줘.
story0709
2025. 5. 30. 20:44
728x90
반응형
SMALL
우리나라 교육과정의 변천: 시대별 변화와 특징
우리나라 교육과정은 1945년 광복 이후부터 오늘날까지 사회적, 정치적, 경제적 변화에 따라 여러 차례 개정되며 발전해왔습니다. 특히 교육 목표, 내용 조직 방식, 교수 방법, 평가 방식 등에서 다양한 변화가 나타났으며, 전체적으로는 국가 주도 → 현장 중심, 지식 중심 → 역량 중심, 획일성 → 다양성과 자율성 강화의 흐름으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총괄적으로 우리나라 교육과정은 1945년 이후부터 현재까지 총 12차례의 개정이 이루어졌으며, 대표적으로 1차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까지가 주요 전환점으로 간주됩니다.
1. 제1차 교육과정 (1954년 시행)
- 시기적 배경: 광복 후 미군정기와 6.25 전쟁 직후의 혼란기.
- 특징:
- 교수요목 형태(1948년 교육부령으로 제정된 교과별 학습지침)를 바탕으로 정식 교육과정 편성
- 내용은 교과 중심, 주입식 교육 강조
- 교과 내용이 많고 방대하며, 교사의 재량이 제한됨
- 문제점: 시대에 비해 과도하게 이론 중심, 학생 중심 교육 미흡
2. 제2차 교육과정 (1963년 시행)
- 시기적 배경: 교육 체제 안정화 및 경제개발계획 추진 시기
- 특징:
- 국민 교육 강화, 산업화 인력 양성 필요 반영
- 교과별 목표 및 내용을 보다 구체적으로 제시
- 학년별 교육내용 제시가 명확해짐
- 의의: 체계적인 교육 내용 정리 시도
3. 제3차 교육과정 (1973년 시행)
- 시기적 배경: 경제 개발 고도화 및 인간 중심 교육 강조
- 특징:
- 교육 목표 중심의 구성
- 학생 중심, 자율성 강조
- 분과형 교과서(교과 간 연계 부족)
- 문제점: 지나친 이상주의적 구성, 실제 수업과의 괴리
4. 제4차 교육과정 (1981년 시행)
- 시기적 배경: 학습자의 자율성과 창의성 강조
- 특징:
- 기본 생활 능력 함양을 강조
- 국민 공통 교육과정 확대
- 교과별 목표를 더욱 명확히 설정
- 지역 실정 반영한 자율성 부여
- 문제점: 교과 내용 과중, 실생활 연계 부족
5. 제5차 교육과정 (1987년 시행)
- 시기적 배경: 민주화 요구, 교육 평준화 추진
- 특징:
- 전인 교육, 창의성, 자율성 강조
- 학습량 감축 시도
- 교육 목표를 행동적 용어로 구체화
- 수준별 교육의 기초 마련
- 의의: 교육 내실화 기반 마련
6. 제6차 교육과정 (1992년 시행)
- 시기적 배경: 정보화 사회 도래, 학습자 중심 교육 강조
- 특징:
- 학생 중심 교육과정 확대
- 교과서 외 다양한 교수 자료 활용 권장
- 국민 공통 교육과정과 선택 중심 교육과정 병행
- 학교 자율화의 기초 형성
- 문제점: 교육 내용 과중, 평가 방법 미비
7. 제7차 교육과정 (2000년 시행)
- 시기적 배경: 21세기 지식기반사회 도래
- 핵심 변화:
- 수준별 교육과정 도입(중·고등학교)
- 학생 선택권 확대(고등학교 선택과목 다양화)
- 정보화, 국제화 시대의 창의적 인간 육성
- 국민 공통 기본 교육과정(초1~중3) + 고등학교 선택 중심 교육과정 구분
- 문제점: 학교 현장의 수용도 부족, 운영 혼란
7차 이후: 2007 개정 → 2009 개정 → 2015 개정 교육과정
▶ 2007 개정 교육과정
- 문제점 해결 시도: 7차 교육과정의 과중함과 운영의 어려움 개선
- 특징:
- 학습 내용의 적정화
- 교과 통합과 창의적 체험활동 확대
▶ 2009 개정 교육과정
- 시기적 배경: 창의 인재 양성 요구, 국가 경쟁력 강화
- 핵심 키워드: 핵심 역량, 창의·인성 교육 강화
- 특징:
- 교과 내용 재구성 및 성취기준 명확화
- 교과 간 연계 강화
- 학년군제 도입(예: 초1
2, 초34)
▶ 2015 개정 교육과정
- 현행 교육과정의 근간
- 핵심 방향:
- **6대 핵심 역량(창의력, 의사소통, 공동체 등)**을 바탕으로 한 역량 중심 교육과정
- 미래 사회에 필요한 인재 양성 강조
- 학생 참여형 수업 및 과정 중심 평가 지향
- 교과 간 융합, 통합 강조(예: 자유학기제, 창의적 체험활동)
- 교육 목표: "자기 주도적 삶을 살아가는 창의융합형 인재 육성"
- 운영 원칙:
- 내용 적정화, 교육의 질 향상
- 교사 자율성 확대
- 학습자 중심 수업
종합 정리
우리나라의 교육과정은 다음과 같은 흐름으로 발전해 왔습니다.
- 지식 중심 → 경험 중심 → 역량 중심 교육
- 중앙 집중형 → 현장 자율성 확대
- 교사 중심 수업 → 학습자 중심 수업
- 선다형 평가 중심 → 과정 중심, 수행 중심 평가 확대
또한, 현대 교육과정은 지속 가능한 사회, 창의 융합, 민주시민 교육 등 다양한 시대적 가치를 반영하여 설계되고 있으며, 교육과정의 개정 주기 또한 점점 짧아지고 있는 추세입니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