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교육학개론의 교육평가의 모형에 대해 알려줘.

story0709 2025. 5. 31. 10:47
728x90
반응형
SMALL

교육학개론 – 교육평가의 모형

교육평가의 모형이란 교육평가를 어떤 방식으로 설계하고 실행하며, 그 결과를 어떻게 해석하고 활용할지를 이론적으로 제시한 틀입니다.
이는 교육 목표, 과정, 결과를 분석하고 판단하는 데 있어 평가자가 어떤 관점과 절차를 따르는지를 보여줍니다.
각 모형은 평가의 목적, 강조점, 방법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되며, 교육철학, 학습이론, 평가이론에 따라 발전해 왔습니다.

아래에서 대표적인 평가 모형들을 하나씩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

 


 

1. 타일러의 목표 중심 평가모형

(Ralph Tyler’s Objective-Centered Evaluation Model)

이 모형은 교육 목표를 평가의 출발점으로 삼는 가장 전통적이고 널리 알려진 평가모형입니다.

  • 핵심 개념: 평가는 교육 목표가 얼마나 성취되었는지를 판단하는 과정이다.
  • 평가 기준: 사전에 설정된 명확한 행동적 목표
  • 절차:
    1. 교육목표 설정
    2. 학습경험 조직
    3. 교육성과 측정
    4. 목표 달성 여부 판단
  • 특징:
    • 평가의 객관성과 신뢰성을 중시
    • 측정 가능한 목표 설정을 강조
  • 비판점:
    • 학습자의 창의성, 정의적 영역 등 비인지적 요소는 평가하기 어렵다.
    • 과정보다 결과에만 치중한다.

 


 

2. 스크리븐의 탈목표 평가모형

(Michael Scriven’s Goal-Free Evaluation Model)

스크리븐은 평가자가 사전에 교육 목표를 인지하지 않고, 실제 산출된 효과에만 초점을 맞추는 방식의 평가를 제시했습니다.

  • 핵심 개념: 목표는 평가의 필수 전제가 아니며, 교육 활동이 실제로 만들어내는 효과(의도된 것과 의도되지 않은 것 모두)를 평가해야 한다.
  • 주안점: 프로그램의 실제 영향과 가치 판단
  • 특징:
    • 비의도적 결과까지 포착할 수 있음
    • 평가의 공정성과 객관성 향상
  • 한계점:
    • 체계적인 평가를 위해서는 어느 정도 목표 정보가 필요할 수 있음
    • 평가자의 주관 개입 가능성


 

3. 스테이크의 종합실상 평가모형

(Robert Stake’s Countenance Model)

스테이크는 교육활동을 다차원적으로 평가하고자 하였으며, 기술적 진술과 판단적 진술을 구분했습니다.

  • 핵심 개념: 평가란 교육활동의 맥락, 투입, 과정, 결과를 종합적으로 기술하고 판단하는 것이다.
  • 구성 요소:
    • 예상된 조건과 실제 조건의 비교
    • 기술적 진술(객관적 사실)과 판단적 진술(가치 판단)의 구분
  • 특징:
    • 교육활동의 전체 맥락 고려
    • 질적 평가 요소 중시
  • 의의:
    • 단편적인 목표 성취 여부를 넘어 전체적인 교육환경과 효과를 평가할 수 있음

 


 

4. 프로버스의 불일치 평가모형

(Daniel Stufflebeam’s Discrepancy Evaluation Model)

프로버스는 프로그램의 실제 운영이 계획대로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평가하는 ‘불일치’를 중심으로 한 평가를 제시했습니다.

  • 핵심 개념: 이상적인 상태(계획)와 실제 상태(수행)를 비교하여 그 차이(discrepancy)를 통해 개선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 평가이다.
  • 평가 절차:
    1. 기준(목표) 설정
    2. 실제 수행 상태 수집
    3. 불일치 분석
    4. 시정 조치 제안
  • 특징:
    • 과정 중심 평가 강조
    • 교육 프로그램의 개선 가능성을 열어줌
  • 한계:
    • 이상적 기준의 설정이 어렵거나 모호할 수 있음

 


 

5. 스터플빔의 CIPP 평가모형

(Daniel Stufflebeam’s CIPP Evaluation Model)

스터플빔은 평가를 단순한 결과 측정이 아니라 의사결정을 지원하기 위한 도구로 보았습니다.
그는 평가를 네 가지 범주로 구분했습니다: Context(상황), Input(투입), Process(과정), Product(산출)

  • 각 요소 설명:
    • Context 평가: 교육 필요성과 문제 분석 → 목표 설정에 기여
    • Input 평가: 목표 달성을 위한 전략, 자원 평가 → 계획 수립에 도움
    • Process 평가: 실행 과정의 적절성과 충실성 평가 → 실행 중 점검 및 수정
    • Product 평가: 결과 및 효과 분석 → 프로그램 성과 판단
  • 특징:
    • 교육의 전 과정을 포괄하는 총체적 평가
    • 평가의 목적을 명확히 하고, 의사결정의 도구로 활용 가능
  • 한계:
    • 평가 내용이 방대해 시간과 자원 소모가 큼
    • 복잡한 평가 체계를 실제 적용하기 어려울 수 있음


6. 일리치의 평가 폐지론

(Ivan Illich’s Deschooling Perspective)

이 입장은 평가 자체를 부정하는 급진적 입장입니다. 이반 일리치는 제도화된 학교교육과 평가가 인간의 자유와 창의성을 억압한다고 비판했습니다.

  • 핵심 주장: 학교와 평가 시스템은 인간을 수동적 존재로 만들고, 진정한 배움의 자유를 방해한다.
  • 대안 제시:
    • 자율 학습 체계
    • 개인의 학습 동기를 기반으로 한 교육
  • 의의:
    • 기존 교육체제에 대한 비판적 성찰 제공
  • 한계:
    • 구체적 실행 방안 부족
    • 현실에서 적용 가능성 낮음

마무리 요약

이처럼 교육평가의 모형은 평가의 목적과 관점에 따라 다양하게 발전해 왔으며, 각 모형은 다음과 같은 평가적 초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 타일러: 목표 달성 중심 (결과 평가)
  • 스크리븐: 실제 효과 중심 (목표 없는 평가)
  • 스테이크: 교육 맥락 전반 고려 (복합적 평가)
  • 프로버스: 이상과 실제의 차이 분석 (과정 점검 중심)
  • 스터플빔: 의사결정 지원 중심 (총체적 평가)
  • 일리치: 평가 자체의 비판 (반체제적 입장)

교육 현장에서는 이들 모형을 상황과 목적에 맞게 융합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평가의 공정성, 타당성, 실용성을 확보하기 위해 다양한 관점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