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교과교육론의 튜리엘의 사회영역이론에 대해 알려줘.

story0709 2025. 6. 1. 13:15
728x90
반응형
SMALL

 

 

 튜리엘(Elliot Turiel)의 **사회영역이론(Social Domain Theory)**은 아동의 도덕성 발달을 설명하는 이론으로, 도덕 판단이 단일한 발달 경로를 따른다는 콜버그의 이론에 비판적으로 등장하였다. 튜리엘은 아동이 사회적 경험을 통해 다양한 **도덕적 판단 체계(영역)**를 분화시켜 나간다고 보았다. 그는 도덕 판단이 단일한 원리나 논리적 사고의 결과가 아니라, 여러 영역의 규범을 구분하고 이해하는 능력의 발달로 이루어진다고 설명했다. 이 이론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살펴볼 수 있다.


 

 

1. 사회영역이론의 기본 전제

튜리엘은 인간이 사회생활을 하면서 다양한 규범과 기대에 직면하며, 이 규범들을 구분해서 인식하고 판단할 수 있는 능력이 도덕성의 핵심이라고 보았다. 따라서 그는 도덕성 발달을 단일한 인지적 수준의 문제로만 보지 않고, 사회적 맥락과 규범의 다양성에 따라 복수의 판단 영역이 존재한다고 주장하였다.


 

2. 판단의 세 가지 주요 영역

튜리엘은 아동들이 규칙과 사건을 판단할 때 사용하는 세 가지 주요 판단 영역을 제시하였다. 각각은 서로 다른 기준, 목적, 정당화 방식을 갖는다.

① 도덕 영역 (Moral Domain)

이 영역은 정의, 권리, 복지, 공정성 등 보편적이고 타인의 권리나 복지에 영향을 주는 규칙과 관련된 판단을 포함한다. 도덕 영역의 규칙은 보편적이며 절대적으로 간주되고, 권위자의 명령이나 사회적 합의에 의해 바뀔 수 없다고 여겨진다.

예: “친구를 때리는 것은 옳지 않다” →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것이므로 도덕적으로 잘못된 행동.

② 사회 관습 영역 (Social-Conventional Domain)

이 영역은 사회적 질서, 조직, 예절, 역할 기대 등에 따라 형성된 규칙과 관행에 대한 판단을 포함한다. 예절이나 규칙, 복장, 인사 방식 등이 여기에 속한다. 이러한 규칙은 사회적 맥락이나 권위자에 따라 변화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예: “학교에서 실내화를 신어야 한다” → 이것은 사회가 정한 질서를 유지하기 위한 규칙이며, 필요에 따라 바뀔 수 있음.

③ 개인 영역 (Personal Domain)

이 영역은 개인의 선택, 취향, 사생활, 자율성과 관련된 판단을 포함한다. 즉, 타인에게 해를 끼치지 않는 한 개인이 스스로 결정할 수 있는 사안들이다. 여기서 개인은 자신이 어떤 옷을 입을지, 어떤 친구를 사귈지 등을 자율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고 본다.

예: “나는 어떤 음식을 먹을지 스스로 정할 수 있다” → 개인의 자유 영역에 해당하며, 외부 개입은 정당하지 않음.

 

 


 

 

3. 영역 구분의 발달

튜리엘은 아이들이 성장하면서 이러한 세 가지 영역을 점차적으로 구분하여 인식하고, 상황에 따라 적절한 판단 기준을 적용할 수 있게 된다고 보았다. 초기에는 규칙을 모두 동일하게 여기는 경향이 있으나, 경험이 쌓이면서 “이건 도덕적으로 옳지 않아”, “이건 단지 규칙일 뿐이야”, “이건 내가 결정할 일이야”와 같은 판단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어린아이는 교실에서 조용히 해야 한다는 규칙을 어기면 “나쁜 아이”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성장하면서 그것이 도덕적 잘못이 아니라 사회 관습 위반이라는 것을 구별하게 된다.


 

 

4. 도덕 교육에의 시사점

튜리엘의 이론은 도덕 교육에 여러 시사점을 준다.

  • 규칙의 성격에 따라 다르게 접근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모든 규칙이 도덕적 판단의 대상은 아니며, 사회적 관습이나 개인의 자유를 포함할 수 있음을 인식하게 한다.
  • 교사나 부모는 어떤 규칙이 도덕적이고, 어떤 규칙이 사회적 질서 유지 목적이며, 어떤 영역은 개인 자율에 속하는지를 명확히 설명하고 구분해줄 필요가 있다.
  • 아이들이 규칙을 어겼을 때 그 이유와 정당성을 어떤 관점에서 보는지에 따라 지도 방식이 달라져야 한다. 단순히 “규칙을 어겼으니 잘못”이라는 식으로 접근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을 수 있다.
  • 아이들의 자율성과 비판적 사고 능력을 길러주는 데도 중요한 이론적 기반을 제공한다.

결론적으로, 튜리엘의 사회영역이론은 도덕성 발달을 보다 사회적·실천적 관점에서 이해하도록 도와준다. 아동은 단순히 규칙을 배우는 존재가 아니라, 다양한 사회 규범 속에서 그것을 구분하고 판단하며, 자신의 행동 기준을 점차 형성해나가는 존재임을 강조한 이론이다. 따라서 교육 현장에서의 규율과 도덕 교육은 판단의 영역성과 정당화 기준의 다양성을 존중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