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교과교육론의 인격교육론 1:인격교육론의 특징과 유형에 대해 알려줘.

story0709 2025. 6. 1. 16:37
728x90
반응형
SMALL

 

 

 교과교육론에서 다루는 인격교육론은 학생의 전인적 성장을 강조하며, 지식이나 기능 교육을 넘어서 바람직한 인격의 형성과 실천을 중심으로 하는 도덕교육 접근법입니다. 인격교육은 단순히 도덕적 지식을 전달하는 데 그치지 않고, 학생이 올바른 가치관을 내면화하고, 이를 삶 속에서 실천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아래는 인격교육론의 특징과 유형을 순서에 따라 자세히 설명한 내용입니다.

 


 

1. 인격교육론의 기본 개념

인격교육론은 학생의 전인적 발달, 즉 지적‧정의적‧행동적 영역을 고루 포함한 교육을 강조합니다. 이 이론은 인간이 도덕적으로 성숙해지는 과정은 단순한 인지적 판단 능력만으로 이루어지지 않으며, 올바른 가치와 태도를 갖춘 인격 형성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가집니다.

인격교육은 도덕적 사고 능력뿐 아니라 **선한 행동을 실천할 수 있는 성품(character)**을 기르는 데 초점을 둡니다.

 


2. 인격교육론의 주요 특징

① 전인교육 지향

지식, 감정, 행동의 통합적 접근을 통해 인격을 기릅니다. 도덕적 판단력뿐만 아니라 공감능력, 정의감, 실천의지를 함께 강조합니다.

② 덕의 함양 강조

고대 그리스 철학의 덕 윤리에 바탕을 두고 있으며, ‘무엇이 옳은가’보다 ‘어떤 사람이어야 하는가’에 초점을 맞춥니다. 정직, 책임감, 배려, 존중, 용기 등의 핵심 덕목을 내면화하는 것을 중요하게 여깁니다.

③ 반복적 실천과 습관 형성 강조

도덕적 성품은 일회성 학습으로 형성되지 않으며, 반복적인 훈련과 지속적인 실천을 통해 길러진다고 봅니다. 이를 통해 덕이 생활 속 습관으로 정착되도록 돕습니다.

④ 공동체 중심의 도덕교육

인격은 사회적 관계 속에서 형성된다는 관점에서, 학교나 가정 같은 도덕적 공동체의 역할을 중시합니다. 교사와 또래, 가족의 모범이 중요한 교육 자원이 됩니다.

⑤ 교사의 역할 강조

교사는 단지 지식을 전달하는 존재가 아니라, 도덕적 모델로서 인격교육의 핵심 주체로 간주됩니다. 교사의 말과 행동은 학생에게 실질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교사의 인격이 교육의 도구가 됩니다.

 


 

3. 인격교육론의 교육 방법

인격교육은 도덕 이야기, 역할 모델링, 공동체 활동, 봉사학습, 명상, 반성적 글쓰기 등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공통적으로는 학생 스스로의 내면화 반복적인 실천을 강조합니다.

실제적 상황에서 덕을 실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그에 대한 성찰과 피드백 과정을 포함해야 효과적인 인격 형성이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4. 인격교육론의 유형

인격교육론은 접근 방식에 따라 여러 유형으로 나눌 수 있으며, 대표적인 세 가지 유형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고전적 인격교육론

  • 아리스토텔레스의 덕 윤리를 기반으로 하며, 도덕적 덕목을 반복적 훈련을 통해 습득한다는 전통적 관점을 따릅니다.
  • 도덕은 단순히 아는 것이 아니라 행하는 것이며, 지속적 실천과 습관화를 통해 인격이 형성된다고 봅니다.

② 현대적 인격교육론 (Character Education)

  • 미국의 교육 현장에서 발전한 형태로, 핵심 가치(Core Values) 중심의 학교 교육을 강조합니다.
  • 정직, 존중, 책임감 등 공통의 도덕적 가치들을 학교 전반에서 교육과 문화로 실천하도록 설계합니다.
  • 전교적인 차원에서 도덕적 학교 문화 조성, 교사의 모델링, 지속적 실천기회 제공이 포함됩니다.

③ 통합적 인격교육론

  • 도덕 판단력(인지적 측면), 감정이입과 공감(정의적 측면), 도덕적 실천(행동적 측면)을 균형 있게 통합하려는 접근입니다.
  • 판단만으로 충분하지 않으며, 감정과 행동이 함께 조화를 이루어야 진정한 인격 발달이 가능하다고 봅니다.
  • 도덕 딜레마 토론과 가치 명료화, 봉사활동 등을 함께 활용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5. 인격교육론의 교육적 시사점

  • 도덕교육은 단순한 지식 전달이나 규범 주입이 아니라, 학생의 삶 속에서 도덕성을 실천할 수 있도록 돕는 과정이어야 합니다.
  • 행동과 습관, 감정과 공감, 판단과 성찰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야 인격이 제대로 형성될 수 있습니다.
  • 교사의 인격과 모범적 행동이 교육에서 가장 강력한 도덕적 영향력을 가질 수 있으며, 교사 스스로도 끊임없이 성장해야 합니다.
  • 학교는 학생들의 인격 형성을 위한 도덕적 공동체로서의 역할을 자각하고, 일관된 가치 중심의 문화와 규범을 제공해야 합니다.

결론

인격교육론은 학생이 도덕적으로 옳은 것을 알 뿐만 아니라, 그것을 실천할 수 있는 성품을 갖춘 존재로 성장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는 인지, 정서, 행동의 통합적 접근을 통해 이루어지며, 삶의 실제 맥락 속에서 덕목을 실천할 수 있는 인격 형성을 중심에 둡니다. 전통적 도덕교육을 보완하면서, 오늘날 공동체 속에서 책임감 있고 배려심 깊은 시민을 기르기 위한 핵심적 교육 방향을 제시합니다.

728x90
반응형
LIST